캄보디아의 군주는 캄보디아의 역대 국왕 목록과 왕실 상징, 국왕의 권한, 왕위 계승 절차 등을 설명한다. 캄보디아는 부남, 첸라, 앙코르 제국 시대를 거쳐 1431년 아유타야 왕국의 침략으로 앙코르가 함락된 후, 주변국의 간섭과 내분으로 혼란을 겪었다. 1863년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고, 1953년 독립 후 입헌군주제를 채택하여 현재까지 노로돔 왕가가 왕위를 계승하고 있다. 캄보디아 국왕은 헌법에 따라 의례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총리 임명, 국민의회 개회, 군 최고 사령관, 법률 서명 등 중요한 국가 기능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캄보디아의 군주 - 노로돔 시하모니 노로돔 시하모니는 1953년 캄보디아에서 태어나 클래식 댄스와 영화 촬영 기술을 익혔으며, 2004년 국왕으로 즉위하여 국가 통합의 상징으로 예술과 자선 활동에 헌신한다.
캄보디아의 군주 - 데바라자 데바라자는 "신들의 왕"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동남아시아 인도화된 왕국에서 왕을 신격화하여 왕권 강화, 사회 질서 유지, 공공 사업 추진에 활용된 종교적, 정치적 개념이다.
캄보디아의 역사 - 일본의 캄보디아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프랑스령 캄보디아를 점령하여 군사적 통제를 강화하고 프랑스 식민 통치를 종식시켰으나, 일본 패전 후 프랑스가 다시 식민 통치하면서 점령이 끝나 캄보디아 독립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캄보디아의 역사 - 캄보디아의 암흑기 캄보디아의 암흑기는 크메르 제국 쇠퇴 후 아유타야 왕국과의 전쟁, 왕위 계승 분쟁, 메콩 삼각주 지역 상실 등의 혼란이 지속되며 앙코르에서 프놈펜으로 수도를 이전하고 서구 열강과의 접촉이 시작된 15세기부터 19세기 프랑스 보호령 시작까지의 시기이다.
캄보디아는 베트남과 시암의 간섭을 받으며 왕위 계승을 둘러싼 내분이 잦았다. 체타 2세 (1618년 ~ 1628년) 사후, 왕위는 그의 아들 톰모 레아체아 2세 (Thommo Reachea II)(1628년 ~ 1631년), 형제 앙 통 레아체아 (Ang Tong Reachea)(1631년 ~ 1640년), 사촌 바톰 레아체아 (Batom Reachea)(1640년 ~ 1642년)를 거쳐 다시 사촌인 레아메아팁테이 1세 (1642년 ~ 1658년)에게로 이어졌다.[27] 이후에도 바롬 레아체아 5세 (Barom Reachea V)(1658년 ~ 1672년), 체이 체타 3세 (Chey Chettha III)(1672년 ~ 1673년), 카에브 후아 2세 (Kaev Hua II)(1673년 ~ 1674년) 등 왕위 계승은 불안정하게 이어졌다.[27]
앙 논 (1674년)의 짧은 통치 이후, 체이 체타 4세 (Chey Chettha IV)가 1675년부터 1695년까지, 그리고 복위와 재복위를 거듭하며 1706년까지 통치했다. 그 사이 우테이 1세 (Outey I)(1695년 ~ 1699년)와 앙 엠 (Ang Em)(1699년 ~ 1701년, 1710년 ~ 1722년)이 왕위에 올랐다. 사타 2세 (Satha II)(1722년 ~ 1738년) 이후, 톰모 레아체아 3세 (Thommo Reachea III)(1706년 ~ 1710년, 1736년 ~ 1747년)가 다시 왕위에 올랐고, 앙 통 (Ang Tong)(1747년 ~ 1749년, 1755년 ~ 1758년)과 체이 체타 5세 (Chey Chettha V)(1749년 ~ 1755년)가 번갈아 통치했다. 우테이 2세 (Outey II)(1758년 ~ 1775년) 이후, 앙 넌 2세 (Ang Non II)(1775년 ~ 1796년)가 왕위를 이었다.
앙 엥 (1779–1782, 1794–1796) 사후 그의 아들 앙 찬 2세가 1806년에 즉위하여 1837년까지 통치하였다. 앙 메이 여왕(1837년 ~ 1847년) 시대에는 베트남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27] 앙 두옹 왕(1841년 ~ 1860년)은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 베트남과 시암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2. 2. 1. 착토묵 시기 (1431년–1525년)
보롬 레아체아 2세(폰헤아 야트, បរមរាជាទី២km, 재위 1431년–1463년)는 앙코르에서 프놈펜으로 천도하여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노레아 레아메아팁테이( នរាយ រាមាធិបតីkm, 재위 1463년–1469년)
레아체아 레아메아팁테이( រាជា រាមាធិបតីkm, 재위 1469년–1475년)
스레이 소리요테이( ស្រីសុរិយោទ័យទី២km, 재위 1472년–1475년)
톰모 레아체아 1세( ធម្មោ រាជា ទី១km, 재위 1476년–1504년)
스레이 수콘토( ស្រីសុគន្ធធោkm, 재위 1504년–1512년)
2. 2. 2. 롱벡 시기 (1525년–1594년)
앙 찬 1세는 시암의 침입을 격퇴하고 캄보디아의 부흥을 꾀했다. 1594년 시암의 재침략으로 롱벡이 함락되었다.
캄보디아는 베트남과 시암의 간섭을 받으며 왕위 계승을 둘러싼 내분이 잦았다. 체타 2세 (1618년 ~ 1628년) 사후, 왕위는 그의 아들 톰모 레아체아 2세 (Thommo Reachea II)(1628년 ~ 1631년), 형제 앙 통 레아체아 (Ang Tong Reachea)(1631년 ~ 1640년), 사촌 바톰 레아체아 (Batom Reachea)(1640년 ~ 1642년)를 거쳐 다시 사촌인 레아메아팁테이 1세 (1642년 ~ 1658년)에게로 이어졌다.[27] 이후에도 바롬 레아체아 5세 (Barom Reachea V)(1658년 ~ 1672년), 체이 체타 3세 (Chey Chettha III)(1672년 ~ 1673년), 카에브 후아 2세 (Kaev Hua II)(1673년 ~ 1674년) 등 왕위 계승은 불안정하게 이어졌다.[27]
앙 논 (1674년)의 짧은 통치 이후, 체이 체타 4세 (Chey Chettha IV)가 1675년부터 1695년까지, 그리고 복위와 재복위를 거듭하며 1706년까지 통치했다. 그 사이 우테이 1세 (Outey I)(1695년 ~ 1699년)와 앙 엠 (Ang Em)(1699년 ~ 1701년, 1710년 ~ 1722년)이 왕위에 올랐다. 사타 2세 (Satha II)(1722년 ~ 1738년) 이후, 톰모 레아체아 3세 (Thommo Reachea III)(1706년 ~ 1710년, 1736년 ~ 1747년)가 다시 왕위에 올랐고, 앙 통 (Ang Tong)(1747년 ~ 1749년, 1755년 ~ 1758년)과 체이 체타 5세 (Chey Chettha V)(1749년 ~ 1755년)가 번갈아 통치했다. 우테이 2세 (Outey II)(1758년 ~ 1775년) 이후, 앙 넌 2세 (Ang Non II)(1775년 ~ 1796년)가 왕위를 이었다.
앙 엥 (1779–1782, 1794–1796) 사후 그의 아들 앙 찬 2세가 1806년에 즉위하여 1837년까지 통치하였다. 앙 메이 여왕(1837년 ~ 1847년) 시대에는 베트남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27] 앙 두옹 왕(1841년 ~ 1860년)은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 베트남과 시암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2. 3. 근현대 (1863년–현재)
프랑스령 캄보디아는 프랑스의 보호령으로서 캄보디아가 근대 국가로의 전환기를 맞이한 시기이다.
노로돔 프롬바리락은 프랑스의 보호를 받아들여 캄보디아의 왕위를 유지했다.[28]프랑스 식민 통치 하에서 캄보디아는 근대적인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였다.
시소와스
시소와스 모니봉
노로돔 시하누크
1941년 노로돔 시하누크가 국왕으로 즉위했다.[28]
1953년 캄보디아는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노로돔 시아누크는 1955년 퇴위 후 정계에 투신하여 총리를 역임하며 캄보디아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0년 론 놀의 쿠데타로 시아누크는 축출되고 크메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름
초상
왕가
출생
사망
전임자와의 관계
노로돔 수라마릿 노로돔 수라마리트/នរោត្តម សុរាម្រិតkm 1955년 3월 3일 – 1960년 4월 3일
시소와트 코사막 왕비는 공식적인 군주는 아니었지만, 남편인 노로돔 수라마릿 국왕 사후 왕조의 "상징, 화신, 대표자"였다. 노로돔 시아누크는 전통적인 군주와 동등한 권한을 가진 국가 원수로 자신을 임명했다.[29][30]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이 1993년 9월 24일 부터 2004년 10월 7일까지 재임하였다. 1975년부터 1979년까지 폴 포트의 크메르 루주 정권은 캄보디아 역사상 최악의 시기였다. 수백만 명이 학살당하고 사회 전체가 파괴되었다. 1993년 유엔의 지원 하에 총선거가 실시되고 입헌군주제가 부활하면서 노로돔 시아누크가 다시 국왕으로 즉위했다.
노로돔 시아누크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은 2004년 10월 14일부터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노로돔 시하모니는 노로돔 시아누크의 아들이다. 2004년 노로돔 시아누크의 뒤를 이어 국왕으로 즉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시소와트 코사막 왕비는 공식적인 군주는 아니었지만, 남편인 노로돔 수라마릿 국왕 사후 왕조의 "상징, 화신, 대표자"였다. 노로돔 시아누크는 전통적인 군주와 동등한 권한을 가진 국가 원수로 자신을 임명했다.[29][30]
2. 3. 3. 캄보디아 (1993년–현재)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이 1993년 9월 24일 부터 2004년 10월 7일까지 재임하였다. 1975년부터 1979년까지 폴 포트의 크메르 루주 정권은 캄보디아 역사상 최악의 시기였다. 수백만 명이 학살당하고 사회 전체가 파괴되었다. 1993년 유엔의 지원 하에 총선거가 실시되고 입헌군주제가 부활하면서 노로돔 시아누크가 다시 국왕으로 즉위했다.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은 2004년 10월 14일부터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노로돔 시하모니는 노로돔 시아누크의 아들이다. 2004년 노로돔 시아누크의 뒤를 이어 국왕으로 즉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국왕의 권한
1993년 공포된 캄보디아 헌법은 국왕의 역할을 주로 의례적인 것으로 규정하였다. 헌법은 국왕이 "통치는 하되, 다스리지는 않는다"[1]는 것을 선언했으며, "국가 통합과 연속성의 상징"[2]이라고 명시했다.
헌법에 따라 국왕은 총리와 내각 임명,[3]캄보디아 국민의회와 캄보디아 상원의 개회식 주재,[4][5]캄보디아 왕립군 최고 사령관 역임,[6] 격주 단위로 총리와의 회담,[7] 법률과 왕실 법령/칙령 서명,[8] "최고 중재자" 역할,[9] 대사의 신임장 접수,[10] 감형 및 사면권 행사,[11] 사법 최고위원회 주재,[12][13] 국가 기관에 위원 임명,[14][15] 국가 훈장 수여[16] 등 중요한 국가 기능을 수행한다.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헌법에 명시되지 않은 다른 역할도 수행하는데, 국가적으로 중요한 행사[17](크메르 민족의 종교 의식 및 전통 포함)[18] 주재, 인도주의적 및 자선 사업 지원,[19] 해외 공식 방문 시 캄보디아 대표[20] 등이 있다. 과거에는 여왕이 있었지만, 1993년 헌법은 현재 여성의 왕위 계승을 금지하고 있다.[21] 모든 것은 내각의 자문과 승인 하에 이루어지는 의례적·형식적인 행위이다. 국왕은 해외 공식 방문 시에는 대외적 대표를 맡는다.[31]
4. 왕위 계승
캄보디아 국왕은 앙두옹 왕가, 노로돔 왕가, 시소왓 왕가의 혈통을 가진 30세 이상의 왕족 중에서 국왕위원회가 선출한다. 국왕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상원 의장(훈센(Hun Sen)), 하원 의장(꾸온 사달리(Koon Sodary)), 상원 제1부의장(프락 소콘), 하원 제1부의장(쩨엠 예브), 상원 제2부의장(오치 보리스), 하원 제2부의장(봉 소스) 순으로 섭정이 국가원수 직무를 대행한다.
5. 왕실 관련 기관
왕궁(Royal Palace of Cambodia)은 콩 삼올(Kong Sam Ol) 장관이 최고 비밀 자문회의(Supreme Privy Advisory Council)와 함께 현재 감독하고 있다.[22][23][24] 이전에는 국왕의 이복형제인 노로돔 라나릿(Norodom Ranariddh) 왕자가 이끌었고 현재는 훈센(Hun Sen) 전 총리가 이끄는 이 부처는 국왕이 군주로서의 의무를 수행하는 데 따라 조력하고 자문한다.
6. 왕실 상징
캄보디아에서는 왕실 문장, 국왕의 깃발 등이 왕실 상징으로 사용된다.
참조
[1]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 7
[2]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 8
[3]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X, Article 119
[4]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VII, Article 82
[5]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VIII, Article 106
[6]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 23
[7]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 20
[8]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s 26 and 28
[9]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 9
[10]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 25
[11]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 27
[12]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 21
[13]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XI, Article 134
[14]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VIII, Article 100
[15]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XII, Article 137
[16]
법률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Chapter II, Article 29
[17]
문서
Cambodian king,...
[18]
문서
Cambodia marks,...
[19]
문서
$1 million royal gift,...
[20]
웹사이트
President Xi meets Cambodian king in Beijing
https://web.archive.[...]
2018-10-25
[21]
웹사이트
Cambodia's Monarchy: The search for the successor
https://www.phnompen[...]
1999-04-02
[22]
뉴스
Cambodian Prince Ranariddh's body arrives home from France
https://www.thestar.[...]
2021-12-05
[23]
뉴스
Reign of the quiet king
https://www.phnompen[...]
2014-10-29
[24]
뉴스
Hun Sen made Privy Council President
https://www.khmertim[...]
2023-08-23
[25]
서적
Studies In Sanskrit Inscriptions Of Ancient Cambodi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6]
서적
Lost Goddesses: The Denial of Female Power in Cambodian History
https://books.google[...]
NIAS Press
2008
[27]
서적
Lost Goddesses: The Denial of Female Power in Cambodian History
https://books.google[...]
NIAS Press
2008
[2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Cambodia 1947
https://media.blooms[...]
1947-05-06
[29]
뉴스
Cambodian Queen is Dead in Peking
https://www.nytimes.[...]
1975-04-28
[30]
서적
A History of Cambo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5-04
[31]
웹사이트
President Xi meets Cambodian king in Beijing
https://web.archive.[...]
2018-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